l u n a m o t h  4 t h   |  COVER  |  TAG CLOUD  |  GUEST  |  RSS 


| 2002/08 : total 79 posts
2002/08/19 데이터 스모그 (1)
2002/08/19 한장이요. (2)
2002/08/18 111.111.111 
2002/08/18 LeapFTP 2.7.3.600 
2002/08/17 n3 이야기 (3)

 1    ...  3     4     5     6     7     8     9     10     11    ...  16   

◀ Newer Posts  |  ▲TOP  |  Older Posts ▶

| 데이터 스모그  [마우스 포테이토]

불과 몇 년 만에 이루어진 이러한 기술의 진보를 서술하면서 저자는 그 이면에 주목한다. 그 이면에는 데이터 스모그, 정보 비만, 업그레이드 강박증 등이 있다. 이제는 자신의 필요에 의해 얻는 정보 외에 스팸 메일들이 쏟아지고 있으며, 불필요한 데이터까지도 많아진다.
전혀 볼 필요가 없는 자료들도 사용자의 시간과 관심을 끌기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다. 반짝거리는 아이콘과 지워지지 않는 플래시 영상들, 엄청난 양의 광고들과 두터워져서 책만해진 신문들, 검색엔진 없이는 한발짝도 떼지 못하는 인터넷 등이 그렇다.
...
테크노 스트레스, 사이버 박탈감, 컴퓨터 중독, 기억상실 같은 것들이 바로 그러하다. 스트레스는 생존에 관련된 긴장 반응을 일으키고 긴장성 두통(우리가 골치아프다고 하는 그런 두통)과 궤양을 일으킨다.
데이터 스모그 속에서 사람들은 기억이 흐려지고 분명히 머리 속에 입력은 되었으나 정확히 기억나지 않는, 어떠한 경로로 그것을 보았는지를 기억할 수 없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고 한다. 뿌연 안개 속을 걸으며 사물을 기억해내는 것 같은 상황이 연출된다. 자료와 정보는 많다. 처리하지 못한 정보, 처리해야 할 정보, 처리하지 못할 것으로 보이는 자료와 시간이 생기면 꼭 보고 싶은 자료 등이 도처에 널려 있다.
...
불안(anxiety)은 공격성(aggression)과 함께 중요한 생존 메카니즘이다. 아울러 우리의 몸과 마음은 정보홍수와 '즉각처리'에 대해 저항한다. 기술발전이 일으키는 수년전의 불안과 지금의 불안은 그 정도가 다르다. 표출되지 않고 노려보고 있을 뿐이다.
사람들은 작업을 하면서 시계를 보는 습관이 있다. 시간에 맞추어 일을 하고 시간에 얽매어 살고 있다. 이것은 사회에서 생존하는 방법의 하나이다. 가속하는 시간속에서 당분간 남에게 뒤쳐지지 않는 방법은 컴퓨터의 경우처럼 클럭을 정상보다 조금 빠르게 만들면서 바쁘게 사는 것이다.
...
"이해하려고 하는 사람은 정보를 제거해야만 한다. 그리고 그렇게 해서 우리는 역설적인 결론에 이른다. 멀티미디어 사회의 자료의 홍수 속에서 ‘부가가치’는 단지 정보를 적게 갖고 있는 것 즉, 쓸만한 정보만 간추려 가지고 있을 수 있는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www.zdnet.co.kr/biztech/hwsw/biztrend/article.jsp?id=51170&forum=1
2002/08/19 22:51 2002/08/19 22:51



Posted by lunamoth on 2002/08/19 22:51
(1) comments

| 한장이요.  [마우스 포테이토]

이들은 특히 조조영화에 자주 출몰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관객유형별 관람태도 분류
대단한 분석이군요...
marineblues.net/mb/note/8-18.htm
어제자 마린블루스에도 동감을...
2002/08/19 11:58 2002/08/19 11:58



Posted by lunamoth on 2002/08/19 11:58
(2) comments

| 111.111.111  [마우스 포테이토]

www.helftkai.de
www.letsmusic.com/Cast/script.asp?Times=617
eurozine.net/it/kaijulia-2112-06.htm
www.salzburg.com/jugend/stories/multimedia/kai.html
작년 기사 군요. 전 처음 들어 봅니다만...
2002/08/18 14:02 2002/08/18 14:02



Posted by lunamoth on 2002/08/18 14:02
(0) comments

| LeapFTP 2.7.3.600  [소프트웨어 리뷰]

www.leapware.com
www.leapware.com/whatsnew.txt
6. Fixed restore broken transfers overwriting instead of
resuming partial file transfers
파일을 전송 실패후 재전송시 이어받기 대신에 덮어이어쓰기?를 해버리는 어이없는
버그를 이제서야 고쳤군요... 허허허...
여타 ftp 클라이언트중에 제일 직관적인 ui와 상대적으로 가벼운점에서 많은 분들이
애용했으리라 생각됩니다. 물론 저 버그 때문에 flash쪽으로 넘어간지 오래지만...
지금은 홈페이지 업뎃용으로만 쓰고 있습니다. ;)
2002/08/18 11:16 2002/08/18 11:16



Posted by lunamoth on 2002/08/18 11:16
(0) comments

| n3 이야기  [마우스 포테이토]

처음 n3.net 도메인을 본것은 subrosa.n3.net(추측) 에서 였을겁니다.
아마도 국내 최초의 자막사이트가 아니었나 싶습니다만.
여튼 그 시점과 제가 lunamoth란 닉을 쓰게된 시점과 일치했을테고요...
어젠가 어느분이 지적해 주셔서 다시 찾아보니 완전한 유료화는 아닌것 같더군요.
뭐 자세히 읽어보지는 않았습니다만 기부를 하지않으면 30일마다 activation(xp인가?)을
해야 된다는것 같습니다.
뭐 별거 아닌, 흔하디 흔한 포워딩주소중 하나일 뿐이지만 제겐 어떤 도메인보다
애착이 갔었는데 말이죠...
사실 따지고 보면 hello.to도 괜찮았었죠... i.am과 함께... wo.to가 나오기
전까지는 거의 저걸 썼다시피 했던 기억이 있으니... 물론 v3에 넘어간지 오래고...
옛계정, 그러니까 codename 시절때 썼던 네이버 계정을 다시 찾아서 뭐라도
해볼까 생각중입니다. 백업도 아니고 그렇다고 해서 새로운 사이트도 아니고...
가설극장? 정도...
.
.
.
당분간은 아니 적어도 앞으로 4년간은 pe.kr에 머물러 있을겁니다. n3는 아쉬운 추억속으로~
2002/08/17 22:14 2002/08/17 22:14



Posted by lunamoth on 2002/08/17 22:14
(3) comments

lunamoth
Textcube

Profile
Contact



Suede
brett anderson

lunamoth on Twitter
Miranda NG

Follow @lunamoth
http://feeds.feedburner.com/Lunamoth
follow us in feedly